부산포에 대중문화공간인 상설극장이 탄생되는 계기가 마련케된 것은 1876년 부산이 개항되면서 비롯된다. 무대와 관객석을 갖춘 극장의 역사는 BC 5~4세기 경 그리스에서 생겨난 안피시어터가 정설이지만 그 후 기독교 문화를 중심으로 서구에서는 극장문화가 일찍부터 꽃피워졌다. 그러나 조선의 경우는 전통적인 연극 형식의 ‘탈춤’과 ‘꼭두각시 놀음’ 등을 공연하는 남사당패가 이곳 저곳을 떠돌며 임시무대를 사용한 후 이동되는 무형극장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06 서양식 극장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개화기 부산에서 태동되는 극장은 일본인 전관 거류지 형성과 정착단계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일본인 전관 거류지 설립은 강화도조약 제4관 속에 “조선국 부산 초량목에 일본공관을 설립하고 양 국민에게 통상구역(朝鮮國釜山草梁項立有日本公館久已爲兩人民通商之區)”을 제공한다는 규정에 따라 설치되었다. 1877년 1월 30일 동래부사 흥우창(興祐昌)과 일본 관리관 곤도 신스케(近藤眞鋤)간에 체결된 부산구조계조약(釜山口租界條約)의 일본인 전관 거류지 규모는 서남 약 220간(間), 서북 약 279간 반, 동북 약 340간 65작(勺), 동남 약 415간 25작으로, 조차료는 연간 50원이었다. 이 조약에 의해 용두산공원을 중심으로 한 초량 왜관 지역까지 총면적은 약 110,000평(혹 100,000평 규모라고 함) 규모였다. 개항전까지 부산포는 용두산 일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초량왜관과 용두산 서쪽 서쪽 구 초량이라 불렸던 부평동 일대, 신초량이라 불린 해정리, 고관, 부산진, 자성대 일대 및 우암포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명치9년) 조인된 강화도 조약과 8월 24일에 체결한 조일 수호규칙 부록(朝日修好規則附錄) 조일무역장정(朝日貿易章程)이 조선국 대표 조인희(趙寅熙)와 일본국 이사관 미야모토 쇼이치(宮本昭一)간에 서명되면서 부산포에서 일본 상인들의 상업 활동이 공식화 되기 시작했다. 이어서 10월 14일에는 태정관포고(太政官布告) 제128호 ‘일본인의 부산포도항제한해제(釜山浦渡航制限解除)’가 공포되어,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 개항 첫 해 부산포에 거주하는 일본인은 82명이었으나 연말에는 500여명으로 급증했다. 1879년에는 700여 명, 1880년에는 402호 2,066명으로 개항 5년만에 일본인의 유입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갔다. 이들 가운데 부산에 건너와 후일 극장 부산좌를 세우는 오이케 타다스케는 1875년, 행좌를 설립했던 하사마 후사타로는 1880년 각각 정착하여 여관업과 무역업, 부동산업 등으로 치부하는 대표적인 거류민 1세대 실업인이 되었다. 이들 일본 거류민들의 대거 이주는 일본이 후일 조선을 강제합병키 위해 정략적으로 시도됐으며 조계지는 그들의 생활터전으로 상업활동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부산영사관이 1881년 12월 15일 ‘일본거류인민영업규칙’ 제48호를 공표하면서 제흥행(諸興行) 제유기장(諸遊技場) 중 가설극장의 영업이 공식화 되는 계기가 되면서 부산은 개항으로부터 5년만에 극장이 태동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07 그러나 상설극장이 세워지기까지는 무려 14년이 지난 1895년 7월 24일 부산 이사청이 거류지 내에서의 질서를 바로 잡기 위해 경찰에 관한 각종 규칙을 제정시행에 들어가면서 극장 및 흥행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제도화시킨 「극장취체규칙」제15호와 「각종 흥행취체 규칙」제16호 법령을 제정 공표하면서였다.08 8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제규칙은 부산에 상설극장이 탄생했음을 밝히고 있어 부산은 조선에서 가장 먼저 극장이 세워진 곳으로 밝혀지고 있다.

1884년 부산을 방문했던 의사 출신 미국인 선교사 호레이스 알렌박사(1958년~1932년)는 일인 거류지를 보고 “부산은 아주 왜색이 짙어 있었다”고 9월 14일 자신의 일기장에 기록하고 있어 이미 일본인 전관 거류지 시내를 중심으로 일본인들의 거주와 상업활동이 매우 활발했음을 증언해주었다. 그로부터 10년 세월이 지난 부산은 극장이 등장하던 1895년 일본 거류민 인구는 무려 4,953명에 달했으며 부산항의 수출은 1884년 346,073원에서 1895년 1,646,479원으로 수입은 1884년 268,567원에서 1895년 871,456원09으로 교역량 또한 빠르게 신장세를 보이며 급성장해가고 있었다. 반면 거류지에는 이미 정착한지 오랜 일본 거류민들이 그들의 일상 생활과 여가 측면에 잊고 있었던 자국의 전통문화를 즐기기 위한 수용이 늘어나자 공연을 목적으로 한 상설극장의 설립 필요성과 함께 극장이 태동했다. 그러나 이들 극장공간에서는 우리 문화가 아닌 왜래(일본)문화가 유입, 수용되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06 이근삼「동아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82년, 476쪽
07 부산영사관「재조선국 부산항 영사관 제정 제규칙편람」1881년
08 부산이사청「부산이사청법규류집」1909년
09「부산대관」부산출판협회, 192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