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관 시대 (1931년~1945년)
영화상영 전용극장 소화관의 개관 기념 프로는 막강했다. 데이코쿠(帝國) 키네마사의 8권짜리 <근대결혼풍경>, 신쿄(新興) 키네마사의 반또쯔마 사브로 주연 10권짜리 <풍운나가또성>, 미국 파라마운트사의 희극물 <로이드의 다리가 제일> 3편이 4일간 상영됐다. 상영작은 사꾸라바상사(サクラバ商事)주식회사에 의해…
개관 건축물이 현존하는 극장, 소화관 (1931년~1968년)
개관 건축물이 현존하는 극장, 소화관 (1931년~1968년) ✽ 극 장 명 : 소화관(昭和館: 쇼와간) ✽ 개명극장명 : 조선극장 → 동아극장 ✽ 주 소 지 : 부산부 남빈정 2정목 22 ✽ 현…
동구의 세 번째 극장, 중앙극장 (1930년~1980년)
동구의 세 번째 극장, 중앙극장 (1930년~1980년) ✽ 극 장 명 : 중앙극장(中央劇場: 쥬오 게키죠) ✽ 개명극장명 : 대생좌(大生座) → 대생극장 → 한벗극장 → 중앙극장 ✽ 주 소 지 : 부산부…
발성영화 상영관 시대의 흥행
발성영화 상영관 시대 부산흥행가는 경쟁관계를 유지해 오던 보래관, 상생관, 소화관이 1932년 부산 활동사진 상설관 동업조합을 결성하여 업계 단결력을 공고히 해 오다 1944년 들어서는 부산 영화극장이 추가로 가세하여 ‘부산영화연예조합’으로 거듭나면서 재부…
조선영화 공식 상영
일제가 조선을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세운 문화정책은 내선일체를 가장하여 민감하게 통제한 분야가 활동사진(영화)이었다. 발성영화 상영관 시대의 부산지역 영화관에서는 지나사변을 비롯하여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벌인 자국의 침략전쟁과 관련한 홍보 영화가…
발성영화 상영관 시대 7개 극장 개관
1927년 9월 6일 미국의 워너 브러더스 영화사가 연구, 개발하여 첫선을 보인 토키(발성)영화 <재즈싱어>는 영화기술 발달의 혁명적인 사건이었다. 영화가 말(소리)을 하기 시작한 그날로부터 2년이 채 안 되는 1929년 7월 18일 부산에서는…
영도에 세워진 두 번째 극장, 수좌 (1924년~1990년)
영도에 세워진 두 번째 극장, 수좌 (1924년~1990년) ✽ 극 장 명 : 수좌(壽座: 고도부키자) ✽ 개명극장명 : 제2행관 → 수좌 → 항구극장 ✽ 주 소 지 : 부산부 목도 영선정…
일본관객 중심의 연극전용극장, 태평관 (1922년~1943년)
일본관객 중심의 연극전용극장, 태평관 (1922년~1943년) ✽ 극 장 명 : 태평관(太平館: 타이헤이간) ✽ 주 소 지 : 부산부 행정 1정목 9번지 / 중구 창선동 ✽ 개관일자 : 1922년 ✽ 폐관일자…
조선인 출입이 자유로웠던 극장, 유락관 (1921년~1932년)
조선인 출입이 자유로웠던 극장, 유락관 (1921년~1932년) ✽ 극 장 명 : 유락관(遊樂館: 유라구간) ✽ 주 소 지 : 부산부 좌천정 206 / 동구 좌천동 ✽ 개관일자 : 1921년 12월 11일…
천정에 벽화가 장식된 극장, 국제관 (1920년~1929년)
천정에 벽화가 장식된 극장, 국제관 (1920년~1929년) ✽ 극 장 명 : 국제관(國際館: 고구사이간) ✽ 주 소 지 : 부산부 안본정(岸本町) 5 / 중구 중앙동 ✽ 개관일자 : 1920년 8월 22일…